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인도 언어의 문서화 및 재활성화를 위한 요구 평가/집행부 보고
소개
데이비드 크리스탈 교수는 그의 저서 '언어의 죽음'에서 "언어 전달이 중단되면 언어의 죽음을 통해 유전 지식의 심각한 손실이 발생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언어는 인류 문명의 핵심이기 때문에 이를 문서화하고 활성화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대부분의 인도어는 위키미디어 플랫폼에서 충분히 표현되지 않습니다. 전 세계 7000개 언어 중 7%만이 출판된 자료로 제공되며 이러한 언어 중 더 적은 부분이 온라인에서 제공됩니다.
이 연구는 인도 언어의 현재 상태와 위키미디어 플랫폼에서 언어 표현을 늘리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인도 언어의 디지털화에 대한 인도 커뮤니티의 특정 요구 사항을 분석했습니다. 주어진 언어의 디지털화를 시작하기 전에 언어 커뮤니티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원어민이 오픈 소스 언어 디지털화의 근간이 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들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언어의 디지털 보존에 더 많은 기여를 장려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이것은 연구의 요약입니다. 전체 보고서를 읽으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맥락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139개의 설문 응답이 있었고 15명을 인터뷰했습니다. 인터뷰 대상자와 설문 조사 참여자는 위키미디어인, 원주민/모국어 사용자 및 언어 전문가의 세 가지 범주에 속했습니다. 우리는 설문 조사에서 객관식 질문이 아닌 자유 형식 질문에 주로 의존했는데, 그 이유는 응답자가 어떠한 단서도 주어지지 않았을 때 무엇을 말할 것인지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응답자는 41개 언어로 구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그들 사이에 유사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원어민 인터뷰 대상자와 설문 조사 참여자는 언어학 및 언어 학자였으며 온라인 플랫폼에서 다양한 인도 언어를 적절하게 표현할 필요성을 알고 있었습니다.
본 연구는 반구조화된 인터뷰의 질적 방법을 통해 설명적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차 연구, 즉 이미 사용 가능한 데이터 분석이 포함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은 귀납적이며 연역적이며 연역적 분석은 본 연구의 결론 및 권장 사항 섹션에 주로 나타납니다. 인터뷰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목적적 샘플링과 눈덩이 샘플링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처음에 우리는 이미 친숙한 참가자들과 이야기를 나눈 다음 참가자들이 다른 예상 참가자를 제안했습니다.
학습
우리는 위키백과 이외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존재에 대해 모국어 화자(비 위키미디어인) 사이에 거의 인식이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비 위키미디어인 설문조사 응답자의 89%는 위키백과 이외의 위키미디어인 프로젝트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위키미디어 프로젝트가 지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지식 형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위키미디어의 텍스트 중심성은 설문 조사 응답자와 여러 인터뷰 대상자에 의해 지적되었습니다. 그들은 언어적, 문화적 포괄성을 어렵게 만드는 몇 가지 문제로 커먼즈에서 설명할 수 없는 시청각 콘텐츠 제거, 언어가 주로 구두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을 언급합니다. 위키미디어에 대한 성향은 브랜드 가치로 설명할 수 있지만 다른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중요성과 디지털 보존 사이트로서의 엄청난 잠재력을 경시하고 있습니다.
약 70%의 비위키미디어 설문조사 응답자는 그들의 언어에 디지털 방식으로 기여하기 위해 선호하는 방법으로 민요와 민화 녹음을 선택했습니다. 몇몇 인터뷰 대상자들은 민속 문화의 시청각 기록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보도어와 브라즈어의 원어민은 그들의 언어로 된 구전 문화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으므로 기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습니다.
브라즈어 화자인 프라모드 라토르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면서 이러한 형태의 노래는 더 이상 연습되지 않기 때문에 사라지고 있습니다.”
언어학자 비디샤 바타차르지는 그녀의 에세이 "언어와 문화적 위험을 구하기 위한 구전 전통의 역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구전 전통은 문화유산 보존의 풍부한 원천이며 사람들의 언어적 표현과 언어적 다양성을 통해 반영됩니다."
권고안
- 텍스트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혁신적으로 사용: 위키미디어인의 약 40%만이 구전 문화의 디지털화를 위해 위키미디어의 자매 프로젝트를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구술문화 콘텐츠를 만드는 시민 기록인을 양성해야 합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술 문화 및 언어 콘텐츠의 중요성을 확립하였고, 다음 단계는 이러한 콘텐츠의 창작을 추진하는 것이다. 같은 커뮤니티나 지역의 시민 기록인은 언어의 구전성을 잘 포착할 수 있습니다. 1947년 국가분할 아카이브는 개인을 성공적으로 교육했으며 10,000개 이상의 구술 역사를 수집했습니다. 강사의 강의실 교육에서 위키백과 읽기와 유사한 교육 과정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 주어진 언어에 맞는 구전문화 콘텐츠 제작: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민요와 같은 구전 문화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구전 문화 전사 툴킷은 구전 문화 콘텐츠를 문서화하고 텍스트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공용 및 위키문헌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기술 인프라의 주요 개선 사항은 프로세스를 더 쉽게 만들고 플랫폼 간 호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관심 있는 개인에게 필요한 지원 제공: 인터넷, 장비 및 멘토링 지원을 통해 개인과 커뮤니티를 지원할 수 있는 특정 방법이 있습니다. 라이징 보이스의 이사인 에디 아빌라는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는 기존 활동가가 없더라도 다른 언어의 활동가 간의 교차 언어, 교차 지역 멘토링 기회는 관심 있는 개인을 안내하고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의 맥락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측면에서 정책은 플랫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특히 같은 언어 커뮤니티의 멘토링 모델은 이해에 대한 이러한 장벽 중 일부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커뮤니티가 지식 공유에 대한 현지 상황과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어떻게 조정하는지에 대한 예를 보았습니다."